교과목소개

  • 밴드 새창 열림
  • 트위터 새창 열림
  • 페이스북 새창 열림
  • 블로그 새창 열림

전공

지구환경문제(Earth environmental problems)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지구의 변화와 환경오염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지구환경 변화에 대한 우리의 대처방안과 우리 후손들에게 건강하고 지속적인 지구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지혜를 학습하고자 한다.

소방학개론(Introduction to Fire Protection Engineering)

화재의 재난으로부터 재산과 인명의 손실을 방어하기 위한 소방시설은 우리 실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므로 소방분야의 기초가 되는 연소 및 화재의 특징, 화재시 연소 소화이론과 가연물질의 화재와 위험 및 생성물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수질오염조사계획(Water Pollution Investigation Plan)

수질오염의 원인과 현상을 이해하고 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계획 및 현장 조사에 필요한 기본적 기술을 교육내용으로 한다.

수질공정관리기초(Foundation of Water Quality Process Management)

계절, 지역적 특성, 발생원 및 공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물질을 주기적으로 채취, 분석하여 최적의 수질공정 운전인자를 도출하도록 한다.

소화설비론(Theory of Fire Extinguishing System)

소화설비의 소화기구 및 설비의 구조 원리를 파악하고, 소화설비에 대한 작동ㆍ점검을 수행한다. 또한, 소화설비에 적응 가능한 국가화재 안전기준을 학습하여 이론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고급 소방인력을 배양하게 한다.

재난관리론(Introduction to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긴급대응의 목적과 방법을 숙지시키고, 지침서를 작성하고, 비상연락망을 수립하며, 상황전파, 구조요청, 119신고를 하는 역량을 배양시킨다.

소방설비(I)(Fire Protection Facilities(I))

기계분야 소방설비인 소화설비, 피난 설비, 소화용수 설비, 소화활동설비 등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운용 및 설계 능력을 향상시킨다.

제연설비론(Theory of Smoke Control System)

화재 시 발생 되는 연기를 체계적으로 제어하여 건물 내 거주자들의 피난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 제연의 이론과 관련 설비 등을 학습한다.

소방관계법규(I)(Commentary of Fire Protection Laws(I))

소방관계법규 및 관련 법령 등을 이해시켜 그 지식을 통하여 예방 소방 차원의 능력을 함양시킨다. 소방기본법, 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 등을 교육한다.

유체역학(Fluid Mechanics)

유체역학에 적용되는 여러 원리와 법칙 및 유체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고 유체의 기본개념을 파악하여 설비 및 시공에 응용하고 체계화 시킬 수 있도록 강의한다.

환경보건학(Environmental Health)

환경은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안녕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관계로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개인이나 사회 전체의 노력과 건강한 삶을 위한 지식이 필요하다. 최근 악성 신생물, 손상 및 중독의 징후와 불확실한 병태, 중금속 질환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날로 위협하고 있어 환경보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환경 요인을 제거하거나 관리하는 방안을 배우는 교과목이다.

건축소방학(Fire Protecting Architecture)

피난ㆍ소화활동ㆍ방화시설의 국가화재 안전기준을 알고 제품사양서를 참조하여 소화기구의 구조 원리를 파악하며 점검 지침서를 참조하여 작동ㆍ 점검하며 점검결과 보고서를 작성ㆍ제출하게 한다.

수질분석기초(Foundation of Water Quality Analysis)

수질시료 중 일반 수질오염 항목에 대하여 표준화된 분석방법인 관능법, 무게차법, 적정법으로 정량화된 값을 구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표준수질공정운전(Standard Water Quality Process Operations)

표준 수질 공정의 기술 및 운전방식을 습득시키고, 공정 최적화를 위한 운전 조건 도출 기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소방장비론(Theory of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Relative Equipment)

소방장비의 개념 및 종류를 이해하고, 화재·구조·구급·점검 등 재난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소방장비에 대한 기본구조와 원리를 설명한다. 소방자동차, 소방정, 인명구조장비, 화재진압장비 및 소방통신장비의 기능 및 특성을 소개하고 그 관리방법을 강의한다.

화재학(Fire Science)

화재현상에 대한 열 및 유체유동, 물질전달, 연소반응 등의 물리적, 화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학문분야로써 화재현상에 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화재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설비(II)(Fire Protection Facilities (II))

전기공학에 대한 기초이론을 이해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기계 및 소방에 이용되고 있는 내용으로 실무에 응용될 수 있도록 응용능력을 배양시킨다.

소방약제학(Science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화재를 진화하는 데 사용되는 물소화제, 분말·포말소화제 등 각종 소화제의 기초 물리화학 이론을 학습하고 응용능력을 키운다.

캡스톤 디자인 I(Capstone Design I)

산업체의 요구 과제를 과제팀 학생 스스로 기획, 해결함으로써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워크, 리더십을 배양하고 산업발전의 핵심 기술역량을 가진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한다.

피난설계론(Fire Escape Design)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극도의 혼란으로 인하여 대규모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을 예측하고 적절한 피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화재 시 건축물 내 거주자의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최적의 피난 설계안을 찾아낸다.

위험물질론(Theory of Hazardous Materials)

저장·취급 위험물 분류와 관련 물질자료를 수집하여 성상을 파악하여 유해성을 조사하며, 류별로 분류하여 위험성을 표시하는 역량을 배양시킨다.

소방기초체력(Basic Physical Training for Fire Fighting)

소방현장활동 및 화재진압활동 과목의 선수과목으로 소방관의 주요업무인 화재진압, 구조 및 구급활동에 요구되는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근력 등의 강화를 위해 기초체력훈련(왕복 오래달리기, 제자리 멀리뛰기, 배근력, 악력, 유연성, 윗몸일으키기 측정)을 체계적으로 실습하여 구조 및 소방의 현장활동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소방정보통신론(Theory of Fire Information & Communications)

정보통신에 관한 기초이론과 소방정보통신을 설명함. 통신기술과 컴퓨터의 급격한 발달로 전화, 방송망으로 쓰는 통신망이 다양하게 변화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모든 산업이 정보화와 접목되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따라서 소방정보통신론에서는 이런 다양성에 대응하는 정보통신, 유선통신, 무선통신 및 긴급구조시스템, 소방통제시스템, 위성통신활용 등 소방재난관리 과정을 중심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위기관리정보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여 전기, 전자통신의 기본적 내용도 다룬다.

연소폭발론(Combustion Theory of Explosion)

연소과정에서 열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시키는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화재와 관련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며, 연소에 의한 에너지의 변환 및 시스템 중에서 특히, 공학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적용과 전자제어 연료 분사장치, 흡기계통, 연료계통 제어계통 등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폭을 넓힌다.

수질일반기기분석(Water Quality Instrumental Analysis)

수질시료 중 일반 수질오염 항목에 대하여 표준화된 분석방법인 전극법, 비색법, 연속자동측정기로 정량화된 값을 구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고도처리공정운전(Advanced Treatment Process Operation)

다양한 고도처리시설의 기술 및 운전방식을 소개하고, 각 공정의 최적운전 및 보증 수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소방관계법규(II)(Explanatory of Fire Protection Laws(II))

소방관계법규 및 관련 법령 등을 이해시켜 그 지식을 통하여 예방 소방 차원의 능력을 함양시킨다. 소방의 화재조사에 관한 법률, 소화설비의 국가화재안전기준, 경보설비의 국가화재안전기준, 피난설비·소화용수설비· 소화활동설비·기타(방재안전) 국가화재안전기준 등 소방청 소관 법령을 교육한다.

창업과 진로(Foundation and Career)

창업과 취업준비를 위한 자기소개서, 이력서, 공문서 등의 각종 서류를 작성 해 봄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이 조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화재조사론(Theory of Fire Investigation)

화재조사는 화재원인과 화재 또는 소화로 인하여 생긴 손해를 조사하는 것으로 화재유형에 따른 원인조사, 절차, 화재조사와 관련된 법규, 발화원 판정, 방화, 실화조사, 화재의 현장감식 요령 등을 강의한다.

소방점검실무(Practice of Fire Protection Inspection)

화재예방과 진압대책을 위하여 소방대상물의 위치·구조·설비 및 소방시설의 관리 ·유지상태 등을 점검 파악하여 화재위험요인의 제거 및 미비·불량 시설에 대해서는 시정 및 보완 대책을 수립하고 나아가 관련자료 등을 기록 관리함으로서 지속적으로 화재의 발생요인을 최소화하고 화재발생시 초기소화 및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에 대해 강의한다.

위험물시설론(Theory of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위험물의 저장·취급을 위한 기준을 조사하고 류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교육하며, 제조소, 저장소, 취급소에서 저장하고 취급하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응급처치론(Theory of First Aid)

재난 발생시 인명구조를 위한 현장관찰, 구급처치방법, 주의사항, 구급용구 사용 및 운반법 등에 대한 강의를 한다.

소방행정실무(Practice of Fire Service Administration)

소방조직의 사무관리 전반에 대해 학습하며 사무 관리의 개념, 복무관리, 기획실무, 민원사무 관리 등에 대해 학습한다.

행정법(Administrative law)

정부나 국가기관의 모든 활동 중에서 입법·사법을 제외한 행정부가 행하는 모든 작용을 행정이라고 하는데, 본 교과에서는 실정법상 소방행정기관이 관장하는 행정작용에 관하여 교수 및 학습한다.

화재진압론(Theory of Fire Suppression)

- 화재진압은 화재현장에서 사람의 생명, 신체, 재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인명구조, 소화, 연소방지, 배연, 피난유도, 기타 소방활동의 일체를 말한다. 화재진압론에서는 소방활동의 수행과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지식을 단계별로 기술함으로써 화재진압 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실험실 안전관리(Laboratory Safety)

연구실의 안전관리 환경조성을 위한 관련법령을 이해하며, 이를 통해 안전 관리 지침서 작성 및 안전시설과 실험실 폐기물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능력을 습득하게 한다.

수처리시설 유지보수(Water Treatment Facilities Maintenance)

단위공정 시설물 구성 현황, 기능을 파악하고, 공정시설의 이력관리 및 관리 대장 작성을 통한 유지관리를 통해 공정시설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슬러지처리공정운전(Sludge Processing Operation)

슬러지 처리를 위한 기본 개념과 처리 공정을 파악하여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하고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운전ㆍ관리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4차 산업혁명 이해(Understand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의 환경재해 및 각종 재해 방지기술과 창의적 방재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현장실습(Field Training)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을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시킴으로서 환경 및 소방 방재분야 전문인력의 자질을 함양하고 현장 감각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