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소개
전공(공통)
응용역학(Applied Mechanics)
한 점에서의 응력과 변형, 축하중을 받는 부재, 보의 전단력과 휨 모멘트, 보의 응력, 설계개념, 평면변형율과 평면응력, 비탄성 휨을 교육한다.
수리학(Hydraulics)
수리학은 유체역학의 한 분야로서 물에 관한 실용적 과학이라 할 수 있으며, 물의 성질과 물의 역학적 거동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토사의 수송, 지하수, 차원과 상사법칙 등 수리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수리모형 실험 및 기기의 측정방법과 응용을 배운다.
토질역학(Soil Mechanics)
흙의 생성과정과 특성 및 공학적 성질을 파악하고 흙의 전단강도, 토압론, 기초문제, 사면안정에 대한 이론을 습득한다.
측량학(Surveying)
다양한 측량기법을 사용하여 현장데이터를 얻는 과정을 소개하고 다양한 형식상의 실측값에 관한 데이터의 처리, 코디네이트 지형학과 서큘러 곡선 지형학을 강의한다.
구조역학(Structural Mechanics)
구조물을 분류하고 정정 라멘, 정정 트러스, 기타의 정정 구조물과 기둥부재를 학습하여 단면력을 계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부정정 구조물의 해석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상하수도공학(Water and sewage engineering)
상수도의 구성 및 계통과 도수 및 송수에 대해서 설명하고 수질과 정수시설에 대하여 강의한다.
응용측량(Applied Survey)
토지에 대한 권리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경계를 확정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를 지표상에 복원하기 위한 측량이다. 주요 내용은 토지의 부동산으로서의 가치와 효용 및 개인 재산의 보호와 권익보장을 위한 토지 각 필지의 경계, 좌표, 면적의 정확한 결정방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철근콘크리트공학(Reinforced Concrete Engineering)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기본역학 및 특성을 익히고 CODE에 준하여 기본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법을 다룬다.
하천항만공학(River and port engineering)
하천 및 항만 구조물의 설계와 수리학적 원리를 교육하며, 하천의 흐름 특성과 유속분석, 항만구조물 설계(방파제, 선착장), 홍수 및 침식 방지 설계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기초공학(foundation engineering)
각종 토목구조물의 기초형성의 선택과 설계, 그리고 연약지반 개량 Footing 기초, File 기초, Pier 기초 등의 공법을 익힌다.
진로탐색과 창업(Career exploration and entrepreneurship)
학생들이 개인의 성향을 분석하여 진료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창업 과정의 기초를 이해하고 성공적인 창업 사례의 연구를 통하여 창업 역량을 개발하도록 교육한다.
창업 아이디어 개발(Startup idea development)
창업을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개발을 위해 창의적 사고 훈련 및 브레인스토밍, 시장 조사와 타겟 분석, 시제품(프로토타입) 개발 방법 등을 교육한다.
캡스톤 디자인I(Capstone DesignI)
지역사회 또는 산업체의 요구 과제를 과제팀 학생 스스로 기획, 해결함으로써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워크, 리더십을 배양하고 산업발전의 핵심 기술역량을 가진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한다.
캡스톤 디자인II(Capstone DesignII)
창업을 위한 요구 과제를 과제팀 학생 스스로 기획, 해결함으로써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워크, 리더십을 배양하고 산업발전의 핵심 기술역량을 가진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한다.
현장실습(Field Training)
건설시공 및 설계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통한 지식을 습득한다.
현장실무실습I, II(Field Practical affairs Training I, II)
건설시공 및 설계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통한 지식을 습득한다.
전공(신산업분야 ; 공통)
스마트건설개론(Smart Construction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건설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드론, IoT, AI, BIMN 등의 스마트 기술 개요 및 스마트 건설 사례분석을 통하여 교육한다.
스마트건설 마스터 클래스(Smart Construction Master Classs)
스마트 건설 기술의 심화 학습과 실무 적용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각종 기술을 활용한 건설 기술 및 사례 등을 전문가 팀티칭을 기반으로 교육한다
AutoCAD 및 3D모델링(AutoCAD and 3D modeling)
AutoCAD와 3D 모델링 도구를 활용한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해 AutoCAD 및 3D모델링의 기초를 교육한다.
토목CAD 및 실습(Civil engineering CAD and practice)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도 규칙에 따른 2D 도면을 작성하고, 확인하여 가공 및 제작에 필요한 2D도면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건설 BIM 개론(Introduction to Construction BIM)
BIM 소프트웨어의 기본구조, 프로젝트 통합 관리와 설계 협업, 데이터기반 설계 사례 분석등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개념과 기초 기술을 교육한다.
3D프린터 실습(3D Printer Practice)
3D모델링을 통한 출력물 설계 및 후처리과정, 3D프린터 세팅 및 작동방법 등 3D프린터 작동 원리를 습득한다.
BIM모델 구축 실습(BIM Model Construction Practice)
BIM모델 생성 및 데이터 입력, 시뮬레이션과 분석기술 및 실무 적용 방법 등 BIM 소프트웨어로 구조물을 설계하고 모델링 기술을 습득한다.
BIM 3D모델링 실습(BIM 3D Modeling Practice)
BIM 소프트웨어로 3D 모델링 기술을 익히는 실습 과정으로 구조물 및 설비의 3D 디지털 모델링, 협업 환경에서의 데이터 교환 및 정밀도 향상을 최적화 기법을 교육한다.
BIM 모델 운용 실습(BIM Model Operation Practice)
설계와 시공 단계에서 BIM 모델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BIM 데이터 관리 및 활용, 시공 과정 시뮬레이션, 유지관리와 협업 기술에 대하여 교육한다.
건설 3D프린터 활용 실무(Practical Use of Construction 3D Printers)
건설 분야에서 3D프린터의 실무적 활용법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건설용 3D프린터 작동 원리, 건설 자재 출력과 품질 관리, 대규모 프린팅 프로젝트 사례 연구에 대하여 교육한다.
BIM 프로젝트 운용 실무(BIM Project Operation Practice)
실제 프로젝트에서 BIM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기술 습득을 목표로 BIM 기반의 프로젝트 관리, 예산 및 일정 통제, 데이터 공유 및 팀 협업에 대하여 교육한다.
전공(신산업분야 ; 드론측량 및 유지관리 직무)
드론측량 개론(Introduction to Drone Surveying)
드론을 활용한 측량 원리와 응용 능력 배양을 목표로 드론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항공사진 및 정사 영상 생성, 측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형 분석에 대하여 교육한다.
드론조종 실습(Drone Operation Practice)
드론의 기본적인 조종 기술과 안전 관리 능력 습득을 위하여 드론 기초 작동 및 유지보수, 안전 비행 규정 및 조종 기술, 다양한 환경에서의 조종 실습 등을 교육한다.
드론측량 실습(Drone Surveying Practice)
드론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측량 결과물을 만드는 기술 습득을 위한 드론 기반 데이터 수집,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GIS와 CAD의 통합 활용 등을 교육한다.
드론 지반조사 실습(Drone Ground Survey Practice)
드론을 활용한 지반 특성 조사와 데이터 분석 기술 학습을 위한 토양 데이터 수집 및 해석, 3D 지형 모델 제작, 위험 지역 평가 등을 교육한다.
드론측량 데이터활용 실습(Drone Survey Data Utilization Practice)
드론으로 수집한 측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무에 활용을 위한 데이터를 CAD 및 GIS 시스템에 적용 및 시각화 및 보고서 작성, 데이터 기반 설계 개선에 대하여 교육한다.
드론활용 구조물 유지관리 실습(Structure Maintenance Practice Using Drones)
드론으로 구조물의 상태를 점검하고 유지관리 기술 학습을 위하여 구조물 상태 분석 및 손상 평가, 촬영 데이터의 시각화, 유지관리 계획 수립에 대하여 교육한다.
드론측량 응용 실무(Drone Survey Application Practice)
드론 측량 데이터를 활용해 다양한 응용 기술 습득을 위하여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활용 사례, 토목 및 환경 분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드론 지반조사 및 구조물 유지관리 실무(Drone Ground Survey and Structure Maintenance Practice)
드론을 활용한 지반조사와 구조물 관리 기술의 통합적 학습을 위하여 드론을 통한 토질 데이터 수집, 구조물 유지관리 데이터 분석, 보고서 작성 및 프로젝트 운영 등에 대하여 교육한다.
전공(신산업분야 ; 싱크홀 및 지반조사 직무)
GPR탐사 및 실습(GPR Exploration and Practice)
지표투과레이더(GPR)를 활용한 지하 탐사 기술 습득을 위하여 GPR 장비 구성 및 사용법, 데이터 수집과 처리, 탐사 결과 해석 애 대하여 학습한다.
지구물리탐사 및 실습(Geophysical Exploration and Practice)
데이터 처리 및 응용사례 및 전기, 자기, 탄성파 탐사 원리를 학습하고 현장 데이터 수집 실습을 통하여 지구물리학적 탐사 기술을 습득한다.
GPR탐사 자료처리 실습(GPR Exploration Data Processing Practice)
GPR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데이터 정리 및 노이즈 제거, 해석 프로그램 활용, 결과 시각화 및 보고서 작성)에 대하여 교육한다.
지하수탐사 및 실습(Groundwater Exploration and Practice)
수리지질학 이론 및 사례연구를 학습하고 지하수 모델링 및 유동 해석 실습을 통하여 지하수 자원의 탐사와 분석 기술을 습득한다.
지하공동탐사 및 실습(Sinkhole Exploration and Practice)
지하 공동구조를 탐사 장비 사용법과 데이터 수집 및 정밀분석을 통하여 안정성평가 및 결과도출을 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지반환경물리탐사 및 실습(Ground Environment Physics Exploration and Practice)
물리탐사 기술(오염된 지반평가, 지반안전성 및 환경 복구 기술, 물리탐사 데이터를 활용한 환경 모니터링)로 지반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습득한다.
GPR 프로젝트 운용 실무(GPR Project Operation Practice)
GPR 장비 및 데이터 운영 계획수립 및 프로젝트 데이터 통합 및 결과 분석 기술 등을 활용하여 GPR 탐사를 실제 프로젝트에서 운영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지하공동탐사 실무(Sinkhole Exploration Practice)
지하 공동의 위험지역 예측 및 평가, 실시간 데이터 해석, 결과 시각화 및 유지관리 전략 기술을 활용하여 지하공동탐사의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역량융합
3D프린터(기초)/(심화)(3D Printer)
3D프린터를 기반으로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시장조사, 제품스캐닝, 디자인 및 3D모델링, 출력용 데이터 확정, 3D프린터 SW설정, 3D프린터 HW설정, 제품 출력, 후가공, 장비 관리 및 작업자 안전사항 등을 학습한다.
융합전공
에코 방재 빅데이터 기초(Eco disaster prevention Big data Foundations)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빅데이터 산업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에코 방재를 고려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빅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 등을 학습하고자 한다.
에코 방재 빅데이터 전문가I, II, III(Eco disaster prevention Big data ProfessionalI, II, III)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빅데이터 산업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에코 방재를 고려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빅데이터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기술과 지식 등을 학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