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창업생태계 고부가가치형 기업가형 대학
기업가형 대학 육성을 통한 가치창출
보도자료: 창업생태계 고부가가치형 기업가형 대학:강원경제신문 (gwbiz.kr) : http://www.gwbiz.kr/79824
기업가형 국가를 저술한 마리아나 마추카토(감역 김광래)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의 역할을 험난한 신기술 개발 시장에서 민간부문의 리스크를 줄이고 시장실패를 시정하는 주도적인 역할과 실리콘 밸리와 같이 혁신적이고 기업가 정신이 용솟음 치는 온상에서도 국가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대학은 고부가가치형 기업가형 대학육성을 위해서는 기업활동과 기업 친화적 환경을 마련하여 혁신과 창의적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한다.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창업교육을 강화하여, 시대적 요구로서의 기업가형 대학으로 창업생태계를 구축하고, 비즈니스 교육과 현장중심의 실무교육과 외부기업과 기관과의 관계, 등으로 급변하는 대내외적인 외부환경에 대응할 시기이다.
기업활동과 지역친화형 대학으로의 연계전략으로는, 첫째 기업가형 대학으로의 변화를 위한 명확한 비전과 전략을 수립해야 하고, 대학 내부구성원과 이해관계자가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에 대한 당위성과 위기감을 공유해야 한다.
대학이 지식 창출 뿐만 아니라 지식을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해야 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창업과 관련된 다수의 일을 해야 한다는 방향성에 대해 대학 구성원과 공유해야 한다.
둘째, 대학은 지자체, 지역산업체와의 긴밀한 네트워킹을 통해 시장이 요구하는 학문과 기술을 공급하고, 미래 지향적 창업기업을 배출하여 지역 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는 선순환 체계를 정착시켜야 한다. 학문 영역에서도 독자적으로 발전을 이루기 어려운 환경으로, 사회변화 속에서 시대적 요구와 소통하고, 시대적 현상을 학문에 반영시키면서 발전을 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미국의 주요 대학인 스탠퍼드대학교, MIT, 하버드대학교 등은 연구중심대학에 머무르지 않고 시장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동 대학 출신 창업자들은 구글, 퀄컴, 페이스북과 같은 세계적 기업을 키워 경제적 가치 창출을 이루어 냈다.
셋째,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대학 기반의 창업생태계를 만들거나, 이미 형성된 창업생태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 하다. 미국의 기업가형 대학의 성과 뒤에는 대학 기반 의 창업생태계가 많은 기여를 했음. 대학과 대학 인근 창업지원 기관 및 기존 기업이 창업자 및 창업기업과 상호교류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였다. 그 예로 한양대학교와 성수동을 기반으로 한 소셜벤처타운에서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은 형태의 창업생태계가 조성되었다.
한국의 대학은 이전과 다른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대변혁기에는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지혜가 필요 하고, 이를 위해서 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중심에는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안인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가 하나의 답이 될 수 있다고 생각 한다.
현재 대학에서는 대학 알리미를 통해 학부모와 수험생에게 각 대학의 창업 성과를 공시하고 있고, 교육부에서는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를 도입하여 학생의 창업 활동을 돕는 창업 휴학, 창업 현장실습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교원의 창업활성화를 위해 교원 겸직과 창업 휴직 등을 개설하여 대학발 창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학평가에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창업 부문에 관심이 없던 대학들도 점차 창업교육과 인프라 구축에 노력을 기울이는 분위기 이다. 그래서 대학평가의 틀과 상세 방안을 중장기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대학평가지표로 미래 지향적 연구와 융합학문 부문, 창업활성화 및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 운영에 대하여 고려해볼 수 있다.
대학의 역할변화에 따른 기업가형 대학과 창업생태계에 관한 연구(최경철)에서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대내외적으로 급격한 환경 변화와 기술혁신으로 한 치 앞도 내다보기 어려운 이 시기에 지역을 선도하는 공립대학으로써 기업가형 대학으로 지역과 연계하는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2023. 4. 19.
강원도립대학교 창업보육센터 조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