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소개
교과목소개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과 가치를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이해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의 개념과 동기, 사회복지의 실천적·제도적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역사적 발달을 이해한 후, 사회복지의 실천적·제도적 방법, 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 등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쟁점과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접수상담
(Intake Interview)
클라이언트의 호소문제를 파악하는 동시에 정보를 수집하고 가족 관계와 문제 수준을 분석하여 적절한 복지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성한다.
사회복지와 인권
(Human Rights and Social Welfare)
인권 감수성 향상과 인권의식 강화를 통하여 인권적 관점에서 사회복지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권의 기본 개념 이해, 인권 역사에 대한 이해, 국제 인권 장전의 주요 내용 학습, 인권침해의 이해, 사회복지와 인권의 관계 이해, 그리고 인권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학습하도록 한다. 실천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권 기반 실천모델을 익히고, 주요 사회복지 분야별로 서비스 이용자의 인권실태를 파악하며, 국내외 인권 관련 규정, 인권 유형과 보장내용 등을 알아보고, 인권에 기반한 사회복지 실천 방법을 습득하여 인권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자원봉사론
(Volunteerism)
현대 사회의 주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그들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을 도모하는 자주적이고 공동체적인 시민 활동을 의미한다. 사회복지는 국가나 공공의 정책적 행정적 노력, 민간조직의 활동과 아울러 시민의 주체적인 참여 활동과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 이 강좌에서는 앞으로 시민들의 주된 자원봉사활동현장에서 일하게 될 예비사회복지사인 학생들이 자원봉사 과정에 대해 사회복지의 주요한 인적 자원 활용으로서만이 아니라 동시에 시민적 복지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자원봉사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와 함께 자원봉사관리에 필요한 전공지식과 기술을 학습하여 자원봉사 관리자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가치를 형성하는 과정의 기초 지식을 학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교과목의 구조는 전 생애 주기의 발달 맥락에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이론들과 인간을 둘러싼 사회환경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서 조직과 전달체계에 관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역사, 이론들을 이해하게 하고, 이를 기초로 민간과 정부부문에서 사회복지의 조직적 활동 전반을 관리, 기획, 실행, 성과관리, 혁신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익힌다. 아울러 복지의 전문직 또는 관리자로서 사업과 프로그램 기획, 인적자원관리, 재정관리, 정보관리, 마케팅과 홍보 등이 포함된 개념적 지식과 실천 방법을 익힌다.
행정법총론
(Law of Public Administration)
국가적 행정을 집행하기 위하여 관련된 법령인 행정법에 관한 일반이론을 총괄하는 과목이다. 행정에 관한 법규범의 내용과 의의, 행정법상의 법률관계 및 행정의 절차와 행정구제법 등을 다루는 것이 핵심이다. 행정과 행정법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행정작용법,행정절차법,행정강제법,국가책임법,행정소송법 등의 각론을 이해시킨다. 아울러 이 과목은 본 학과의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에게는, 졸업 후 사회복지공무원 시험과목 중의 하나라는 중요성을 갖는다.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증가하고 있는 현대인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다양한 정신건강의 문제와 질환(장애), 생애주기에 따른 정신건강의 문제를 이해하고 정신건강 관련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천역량을 습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
아동복지와 관련된 이론과 실천 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아동복지의 특성과 부모의 역할, 개념과 가치, 아동복지의 역사, 아동권리, 아동의 욕구와 문제,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서비스, 실천방법과 기술을 습득하도록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이 관여하고 있는 아동복지 관련 영역을 사례별로 고찰하여 아동의 욕구와 문제를 자원의 동원과 조정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도록 한다.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 형성과 집행, 분석과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사회복지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가치와 관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정책의 내용과 발전방안을 분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분석적·개입적 역량과 비판적·관계적 역량을 배양한다.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관점을 정립하고, 실천의 토대가 되는 사회와 현장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전문직과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을 기반으로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한다.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Social Welfare)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의의 및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실행 및 평가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학습한다. 이 교과목은 사회문제 해결의 도구로써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전문 역량을 강화한다.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증거기반 실천에서 사회복지조사론의 필요성 및 현장 적용성의 맥락에서 증거기반실천의 역사적 배경, 증거기반실천의 정의 및 단계, 증거기반실천에 대한 논쟁점 등을 포함된다.
질적 연구방법에서 과학적 인식론에서 해석주의적 관점을 다루면서 질적 연구방법의 관점을 설명하고, 자료수집 방법을 다루면서 질적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료수집 방법을 설명한다. 아울러 연구에서 사용하는 관찰이나 면접 등의 자료수집 방법, 의도적 표본추출, 눈덩이 표본추출 등의 표본추출의 방법 등의 설명을 추가로 사용한다.
청소년복지론
(Social Welfare with Youths)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제반 이론과 실천 영역과 방법을 학습하여 청소년 복지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의 특성과 발달을 학습하고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이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복지욕구와 청소년문제를 학습한다. 아울러 청소년을 권리와 책임의 주체로서 인식하고,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정책 및 제도 등을 포괄적으로 학습하여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습득함으로써 청소년과 함께 복지 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탐구한다.
노인복지론
(Social Welfare with Elders)
고령사회의 특성과 노인복지과제를 이해하며, 노인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파악하며, 노인의 복지를 위한 정책적 대응과 실천적 개입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부에서는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심리/사회적 변화와 노년기의 과업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이 겪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노년기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지원하는 노인복지정책 및 제도를 파악한다. 아울러 노인의 특성과 노인들이 직면하는 인권 문제를 이해하며, 노인 개인 및 집단에 개입하는 사회복지 실천 방법을 익히고, 실천 과정에서 유념해야 하는 실천 가치와 인권에 대해 숙지한다.
캡스톤디자인Ⅰ
(Capstone Desigen I)
산업체 요구 과제를 과제팀 학생 스스로 기획, 해결함으로써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워크, 리더십을 배양하고 산업발전의 핵심 기술역량을 가진 창의적인 인력을 양성한다.
상담과 심리평가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인간 이해와 상담이론에 기초하여 접근 기술 및 방법을 학습하고 위기 상황에 적용해보는 기회를 가진다.
심리평가는 상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심리 검사의 실시 및 해석 방법을 다룬다. 심리검사를 통해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문제와 그 정도를 파악하고 예후를 예측하고 인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위기상담
(Crisis Counseling)
자살을 비롯한 클라이언트의 심리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기상황을 진단하고 위기상담을 계획한 후 위기 상담을 실시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을 기른다.
사회복지현장실습
(Social Welfare Practicum)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지식 그리고 사회복지실천과정 및 기술을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실제로 적용하는 현장실습을 통해 전문직의 사명감과 실천능력을 겸비한 사회복지사를 교육, 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for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실천의 특성에 맞는 연계기술 및 간접서비스에 대한 기술과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목표로 개입기법과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모델에 따른 개입기법을 익힌다. 아울러
집단에 대한 개입기법을 익히고 다양한 교수법 및 매체 활용과 사례중심의 교육 과정 내에 사례연습, 역할극, 과정기록(process recording) 등을 비롯하여 풍부한 시청각 자료(동영상 등)를 활용한 역량 강화에 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각 주차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풍부하게 구성하여 현장 적용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Social Welfare Legal system and Practice)
다른 교과목들에서 관련되는 사회복지법을 교육하고 현행법령(보건복지부 장관의 고시로 시행규칙에 규정)과 실제 현장 적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가족복지론
(Social Welfare with Families)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한국 사회는 가족 가치관 변화와 가족 다양성 확대를 경험하고 있다. 가족 복지론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족복지정책을 탐색하고, 가족과 관련된 실천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가족복지정책을 이해하기 위해 복지국가와 가족복지정책의 관계를 살펴보고, 한국과 외국의 가족복지 정책을 비교 탐구함으로써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현주소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알아본다. 또한 가족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가족복지서비스와 실천 방법들을 학습함으로써 일반주의 사회복지사로서의 실천 능력을 함양한다.
여성복지론
(Social Welfare with Women)
사회적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여성복지 관련 쟁점을 여성복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학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여성주의 이론들을 학습하고 여성 문제에 적용해보며, 향후 여성복지정책과 여성복지실천의 발전적 방향과 전략을 모색해 본다.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 Practice)
지역사회를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단위로 삼는 다양한 모델과 방법론을 다룬다. 특히 지역사회 변화라는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론과 기술의 학습에 역점을 두는 교과목으로, 지역사회와 구성원들이 지니는 사회적 문제와 욕구의 해결을 도모하는 사회복지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 필요 지식, 실천기술을 단계별로 학습한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개념, 오늘날 지역사회가 당면한 사회문제의 이해, 그리고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기초 이론을 학습한다. 중반부에는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 실천원칙과 과정, 다양한 실천기술 및 실제 적용 등의 전문적 접근에 필요한 핵심사항을 다룬다. 후반부에서는 지역사회복지 추진기관 및 특수 분야,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지역사회복지운동, 지역사회복지의 동향과 발전 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학습한 내용 전반을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관련 문제의 해결역량을 함양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가로서의 전문성을 증진한다.
의료사회복지론
(Social Work in Health Care)
사회복지 전문가는 생애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건강과 질병의 문제가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받는지 이해하고, 이와 관련한 사회복지의 제도와 정책, 서비스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예방-치료-사회복귀의 건강연속성 개념을 학습하고,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병원 내 의료사회복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건강증진과 돌봄과 관련한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보건의료 및 의료보장정책과 병원 내 다양한 의료사회 복지 실천을 학습하게 되며, 사람들의 삶을 위협하는 다양한 질환은 어떤 심리사회적 영향을 미치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은 무엇인지 탐색한다.
사회복지 창업실무
(Social Welfare Start-up practice)
사회복지 기관 운영과 사회복지기관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이해 및 사업계획서 작성 실습을 통하여 사회복지기관 창업과정을 쉽게 이해하고 창업에 대한 실무 지식 습득한다.
사회복지법제와 정책(기초)
(Social Welfare Legal system and Policy(Basic))
사회복지법과 사회복지정책 형성과 집행, 분석과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사회복지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가치와 관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정책의 내용과 발전방안을 분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분석적·개입적 역량과 비판적·관계적 역량을 배양한다.
사회복지법제와 정책(심화)
(Social Welfare Legal system and Policy(Advanced))
사회복지법과 사회복지정책 형성과 집행, 분석과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사회복지정책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가치와 관점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통해 사회복지정책의 내용과 발전방안을 분석하고 조망할 수 있는 분석적·개입적 역량과 비판적·관계적 역량을 배양한다.